2025/07/17 2

AI 시대, 전통 대장장이, 수공예 장인의 생존 방식은 어떻게 달라졌을까?

산업화와 디지털 기술의 가속화는 전통 직업의 생존 방식에 중대한 변화를 가져왔다. 특히 기계화와 대량생산의 흐름에서 가장 빠르게 도태될 것으로 예상됐던 직업 중 하나가 바로 대장장이와 수공예 장인 같은 ‘손기술 중심의 직업’이었다. 날마다 땀을 흘려가며 쇠를 두드리고 나무를 깎고 가죽을 바르는 전통 장인의 작업은 효율성과는 거리가 멀다고 여겨졌고, 기계와 자동화 시스템이 이들을 곧 대체할 것이라는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예상과는 달리 일부 장인들은 지금도 현역으로 활동하며 오히려 더 큰 주목을 받고 있다. 그들은 과거의 기술을 고수하면서도 시대의 흐름에 맞게 스스로를 변화시켜왔다. 제품이 아닌 ‘가치’를 파는 전략, 손기술에 브랜드를 입히는 방식, 디지털 도구와의 융합 등 다양한 방식으로 생존의 길..

상담사, 심리치료사처럼 감정노동 직업은 AI로 대체될까?

인공지능의 발전은 그 어느 때보다 빠르게 우리의 일상과 직업을 재편하고 있다. 특히 ChatGPT와 같은 대화형 AI가 등장하면서 단순한 정보 전달을 넘어서 감정에 반응하고, 조언을 제공하는 기능까지 수행하게 되었다. 실제로 “AI 상담 챗봇”이나 “AI 심리코치”라는 이름으로 상담 기능을 제공하는 플랫폼이 빠르게 확산되고 있으며, 일정 부분에서는 긍정적인 피드백을 받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렇다면 상담사나 심리치료사처럼 감정노동이 핵심인 직업들도 AI에게 대체될 수 있을까? 감정을 나누는 것이 인간만의 능력이라 여겨졌던 시대는 이제 끝난 것일까? 이 질문은 단순히 기술의 가능성에 대한 탐색을 넘어 인간의 본질적 역할에 대한 성찰을 요구한다. 이 글에서는 AI가 현재 감정노동 직업에 어느 정도까지 접근..